한국, 복식문화, 중세시대 옷, 옷 문화, 한국 옷 역사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한국, 복식문화, 중세시대 옷, 옷 문화, 한국 옷 역사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20)
    • 한국, 복식문화, 중세시대 옷, 옷 문화, 한국 .. (20)

검색 레이어

한국, 복식문화, 중세시대 옷, 옷 문화, 한국 옷 역사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고려시대 백관의 관복(제복, 조복, 공복)

    2022.08.08 by 유컬

  • 고려시대 구분과 왕의 복식

    2022.08.03 by 유컬

  • 고려시대 남자의 평상복의 모습

    2022.07.31 by 유컬

  • 고려시대 여자의 평상복

    2022.07.30 by 유컬

  • 고려 전, 중기 여자예복

    2022.07.30 by 유컬

  • 통일신라 흥덕왕의 복식금제와 직물

    2022.07.30 by 유컬

  • 발해의 복식, 관복 등 복장 사료

    2022.07.30 by 유컬

  • 고구려의 의복(남자, 여자 의복)

    2022.07.29 by 유컬

고려시대 백관의 관복(제복, 조복, 공복)

고려시대 백관의 관복(제복, 조복, 공복) 고려시대 전·중기 백관의 제복은 『고려사』 의종대 상정고금례 기록을 토대로 이해할 수 있는데요, 문무백관의 제복(祭服)은 면류관과 장복(章服)을 갖춘 면복 제도로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각 계급에 따라 면류와 장문에 차등을 두었습니다. 고려 말기 백관의 제복은 공민왕 19년(1370) 명으로부터 받아온 양관(梁冠) 제도로 대표됩니다. 당시의 제복은 이등체강에 따른 것이었기 때문에 양관은 계급에 따라 1량부터 5량까지 사용했습니다. 당시 명에서 사여 받은 백관의 제복 일습은 다양한 품목으로 구성되었는데요, 청라의(靑羅衣), 검정색 깃과 수구의 백사중단[白紗中單皂領袖襴], 검정색 선이 둘러진 홍상[紅羅裙皂緣], 홍라폐슬(紅羅蔽膝), 홍백대대(紅白大帶), 방심곡령(方..

한국, 복식문화, 중세시대 옷, 옷 문화, 한국 옷 역사 2022. 8. 8. 12:55

고려시대 구분과 왕의 복식

고려시대 구분과 왕의 복식 고려시대 왕과 백관의 관복 제도의 변천 과정을 이해하고 고려시대 남자의 평상복 종류와 형태에 대해 설명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고려시대 복식을 공부하기에 앞서서 먼저 고려시대의 시기 구분에 대해 개관하면서 각 시기별로 중요한 복식사적 사건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고려시대 시기의 구분 고려는 918년 왕건에 의해 건국되었고 1392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475년간 존속했습니다. 지금까지 한국사 연구에서 고려왕조의 시기 구분에 대해서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어 왔는데요, 무신정변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 두 시기로 구분하는 경우가 있고, 지배 세력의 변화에 따라 더욱 세분하여 네 시기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복식사적 측면에서 볼 때는, 고려시대 복식의 변화를 이해..

한국, 복식문화, 중세시대 옷, 옷 문화, 한국 옷 역사 2022. 8. 3. 15:47

고려시대 남자의 평상복의 모습

고려시대 남자의 평상복의 모습 고려시대 남자의 평상복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고려시대 남자의 의복을 살펴보겠습니다. 고려시대의 남자 평상복 의복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백 저포, 즉 백색의 모시로 만든 포입니다. 『고려도경』에 의하면 "왕은 평상시 쉴 때 검은색 건에 백 저포를 입으므로 백성과 다를 바 없다"라고 했습니다. 또한 『고려도경』에는 저의(紵衣)에 대한 기록도 있는데요, “저의는 속에 입는 홑옷[中單]인데, 고려의 풍속[夷俗]은 가선이나 깃[純領]을 사용하지 않으며, 왕에서부터 민서에 이르기까지 남녀 모두 이를 입었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가선이나 깃이 붙지 않은 모시 속옷을 남녀노소 귀천 없이 착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의 회화와 불복장 유물에서는 더욱 다양한 남자의 ..

한국, 복식문화, 중세시대 옷, 옷 문화, 한국 옷 역사 2022. 7. 31. 08:02

고려시대 여자의 평상복

고려시대 여자의 평상복 고려시대 여자의 평상복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려도경』 에는 고려시대 여자의 평상복에 관한 자세한 기록이 나와 있습니다. 다음 내용은 『고려도경』 부인 편 서문의 앞부분인데요, 같이 한번 읽어 보시겠습니다. “신(臣)이 듣기에, 삼한(三韓)의 의복 제도에서는 염색한다는 이야기를 듣지 못했다. 다만 화문(花文)을 금지하므로 어사(御史)가 문라(文羅)나 화릉(花綾)을 입은 사람을 보게 되면 그 사람을 처벌하여 단죄한다. 백성들은 금령을 잘 지키고 감히 금령을 무시하지 못한다. 옛 풍속에 의하면 여자 의복은 백저(白紵) 황상(黃裳)으로서, 위로는 왕족이나 귀족[公族貴家]으로부터 아래로는 백성들 처첩(妻妾)에 이르기까지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한결같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한국, 복식문화, 중세시대 옷, 옷 문화, 한국 옷 역사 2022. 7. 30. 23:06

고려 전, 중기 여자예복

고려 전, 중기 여자예복 고려시대 여자 복식을 예복과 평상복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특히 예복 부분은 시기를 나누어서 공부할 예정인데요, 고려 전·중기, 원 간섭기, 고려 말기 이렇게 세 시기로 나누어서 학습할 예정입니다. 이번 수업을 통해서 여러분들은 고려시대 왕비와 귀부인의 예복 제도의 변천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고려 전기, 중기의 여자 예복 먼저, 이번 시간에는 고려 전, 중기의 여자 예복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려 전·중기의 여자 예복은 신라의 옛 제도 또는 당·송의 복식 제도와 유사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삼국사기』 색복(色服)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우리 태조(太祖: 왕건)가 명(命)을 받은 후에 모든 국가 법도는 신라의 옛 것을 따른 것이 많았으므로, ..

한국, 복식문화, 중세시대 옷, 옷 문화, 한국 옷 역사 2022. 7. 30. 18:49

통일신라 흥덕왕의 복식금제와 직물

통일신라 흥덕왕의 복식 금제와 직물 통일신라 흥덕왕 복식 금제에 등장하는 복식 품목과 직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고, 발해 복식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통일신라의 복식을 공부하기에 앞서, 먼저 통일신라의 역사를 개괄적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통일신라의 역사 신라는 660년에 백제를, 668년에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676년 문무왕 대에 나당전쟁을 승리하면서 삼국통일을 완성하였습니다. 통일 이후 영토와 인구가 확대되었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7세기 말 신문왕 대에 유교 교육 진흥을 위하여 국학을 설치하였고, 9주 5 소경 체제의 지방 행정 조직을 완비하였습니다. 그리고 8세기 중반 경덕왕 대에는 국학을 태학 감으로 고치고 박사와 조교 등을 두어..

한국, 복식문화, 중세시대 옷, 옷 문화, 한국 옷 역사 2022. 7. 30. 10:28

발해의 복식, 관복 등 복장 사료

발해의 복식, 관복 등 복장 사료 발해는 고구려 멸망 후 약 30년 뒤인 698년, 대조영이 당과 신라 연합군에 대항하면서 고구려를 계승하여 건국한 나라입니다. 8세기 초 무왕 대에는 영토를 확장하여 북만주 일대를 차지했습니다. 8세기 중후반 문왕 대에는 요하까지 영토를 확장하였으며, 스스로 황제국 가임을 자처하고 당과 일본에 여러 차례 사신을 보냈습니다. 9세기 전반 선왕 대에는 고구려보다 더 넓은 영토를 차지했으며 중국으로부터 해동성국이라 불리기도 했습니다. 산동성 등주에는 발해 사신을 접대하는 발해관이 설치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9세기 말부터 차츰 국력이 약해지다가 요의 침략을 받고 926년에 멸망하게 됩니다. 발해는 강한 군사력과 발전된 문화를 향유하면서 남쪽의 신라와 공존하여 남북국(南北國)의..

한국, 복식문화, 중세시대 옷, 옷 문화, 한국 옷 역사 2022. 7. 30. 06:46

고구려의 의복(남자, 여자 의복)

고구려의 의복(남자, 여자 의복) 고구려 복식의 종류와 형태를 이해하고, 고구려 복식의 특성과 문화적 기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고구려의 의복에 대해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고구려의 의복을 공부하기에 앞서, 고구려 복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역사적 배경 지식을 간단히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고구려 역사적 배경 지식 고구려는 기원전 37년 부여에서 남쪽으로 내려온 주몽에 의해 건국되었습니다. 삼국 가운데 가장 먼저 국가 체제를 정비한 나라가 바로 고구려였는데요. 이 고구려는 4세기 전반에 낙랑군과 대방군을 정복하면서 한사군 세력을 한반도에서 완전히 몰아내었고, 4세기 후반에 율령 반포와 불교 공인을 통해 국가 발전의 새로운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에..

한국, 복식문화, 중세시대 옷, 옷 문화, 한국 옷 역사 2022. 7. 29. 23:5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한국, 복식문화, 중세시대 옷, 옷 문화, 한국 옷 역사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